아래 자료에는 컴팩스를 포함한 다양한 NMES를 이용한 연구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저자/출판: Gondin 외,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11년 10월, Vol. 111(10), pp.2473-87.
이 프랑스 연구에서는 일반인, 생활체육인, 전문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전기근육자극(EMS)의 장점과 한계점을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습니다.
EMS 트레이닝은 근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MS를 동적 자발운동과 결합하면 점프력, 스프린트 능력과 같은 스포츠 특화 기술과 수행능력도 향상됩니다.
EMS는 운동선수들에게 매우 효과적인 트레이닝 도구입니다. 일반적인 자발운동에서는 고강도 운동시에만 활성화되는 속근섬유가 EMS를 통해서는 낮은 강도에서도 쉽게 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EMS는 제한된 시간 내에 근력 향상이 필요할 때 좋은 방법이며, 훈련 프로그램에 다양성을 더해 선수들의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전기자극이 자발적 저항 운동의 효과적인 보완 수단이라는 확실한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8주 후 무릎 신전근의 최대 자발적 수축이 27%까지 증가했고, 근육량은 8% 증가했습니다. 또한 도핑과 달리 합법적인 보조 수단이라는 점도 장점입니다.
저자/출판: Deley 외,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011년 2월, Volume 25(2) pp.520-526.
체조에서는 순간적인 폭발력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근력 훈련이 필수적입니다.
이 프랑스 연구에서는 Compex Sport 기기를 사용하여 6주간의 전기근육자극(EMS)과 체조 훈련을 병행했을 때 사춘기 이전 체조선수들의 근력과 수직 점프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16명의 어린 여자 체조선수들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했습니다. 한 그룹은 체조 훈련과 함께 무릎 신전근에 EMS 훈련을 받았고, 다른 그룹(대조군)은 체조 훈련만 받았습니다.
EMS 훈련 시작 3주 만에 무릎 신전근의 근력과 점프력이 크게 향상된 반면,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습니다.